Skip to main content
Knowledge-Pathway-Hero-image

근이영양증

근이영양증은 운동을 조절하는 골격근의 진행성 쇠약 및 변성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 질환입니다. 일부 형태의 근이영양증에서는 심장 근육과 일부 다른 불수의근도 영향을 받습니다. 또한 다른 장기와 관련된 몇 가지 다른 형태도 있습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근육이 분해되고 지방 침착물로 대체됩니다. 근이영양증과 관련된 일반적인 증상으로는 서투른 움직임, 계단 오르기 어려움, 빈번하게 걸려 넘어짐 및 낙상, 정상적으로 점프하거나 뛰지 못함, 첨족 보행, 다리 통증, 안면 쇠약, 눈을 검거나 휘파람을 불 수 없음, 어깨 및 팔 쇠약 등이 있습니다

근이영양증의 유형

검사와 병력은 근영양증의 유형을 구별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근이영양증의 유형에 따라 영향을 받는 근육군이 달라집니다. 대개 근육량 소실(소모)이 발생하며, 일부 유형의 근이영양증에서는 지방과 결합 조직의 축적(거짓비대)으로 근육이 크게 보이게 되어 이를 인지할 수 못할 수 있습니다. 관절 구축 또한 일반적입니다. 근섬유의 단축, 결합조직의 섬유증, 그리고 흉터는 서서히 근육 기능을 파괴합니다. 일부 유형의 근이영양증은 심장 근육과 관련이 있으며 심근병증 또는 부정맥을 유발합니다. 근육 생검은 진단을 확인하는 데 사용되는 일차 검사일 수 있습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혈액의 DNA 검사로 충분할 수 있습니다.

임상 표현형은 경증에서 중증까지 다양하게 나타납니다. 대부분의 근이영양증 유형은 심장, 위장관 및 신경계, 내분비선, 피부, 눈, 기타 장기를 포함한 신체 계통에서 증상을 동반하는 다계통 장애입니다. 근이영양증에서 나타나는 임상적 특징으로는 근육 쇠약, 근육 소모, 근긴장저하(낮은 근긴장), 근긴장증(수의적 수축 후 느린 근육 이완), 심장 전도 이상, 호흡부전, 정신 지체가 있습니다. 조직학적으로, 근이영양증 환자는 섬유 크기의 변이, 섬유 괴사, 대식세포 침범, 지방 변위, 중심에 위치한 핵(nuclei), 봉입체, 핵(core), 저장 물질(글리코겐), 염증, 괴사/재생을 보입니다.

근이영양증에는 다음과 같은 5 가지 유형이 있습니다: 선천성 근이영양증, 에머리-드라이푸스(Emery-Dreifuss)형 근이영양증, 듀센(Duchenne)형 근이영양증, 베커(Becker)형 근이영양증, 지대(Limb-Girdle)형 근이영양증. 각 유형은 유전 방식, 발병 연령, 주된 근쇠약 분포, 특정 골격근 유형의 침범, 전체적인 진행에 따라 분류됩니다. 하지만 이 질환을 정확하게 진단하는 것은 매우 어려울 수 있습니다. 그러나, 특수한 근이영양증 염색을 사용하면 근이영양증 유형 판별을 좁힐 수 있습니다.

근이영양증에 관여하는 단백질

  • 디스트로핀(Dystrophin): 디스트로핀-당단백질 복합체의 일부. 디스트로핀 결핍은 디스트로글리칸과 사르코글리칸 모두의 막 국소화를 방해합니다. 이러한 단백질 중 하나 이상의 결핍은 횡문근형질막의 파열을 유발합니다.
  • 스펙트린(Spectrin): 막 완전성을 모니터링합니다. 디스트로핀과 스펙트린에 대해 음성 표지를 보이는 섬유는 손상되었거나 재생의 초기 단계에 있으며 적혈구 막에 기계적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 유트로핀(Utrophin): 디스트로핀의 동족체. 디스트로핀 관련 단백질로 알려져 있습니다. 정상 근육에서 신경근 이음부로 국한됩니다. 해당 표지는 디스트로핀 결핍 근육에서 대부분의 섬유의 주변부 주위에 나타납니다. 액틴 세포골격을 세포외 기질에 연결합니다.
  • 사르코글리칸(Sarcoglycan) 항체: 사르코글리칸 유전자 중 어느 하나에 돌연변이가 있는 환자는 일반적으로 전체 군에 대해 발현 감소를 보입니다. 소아기 상염색체 열성 근이영양증의 임상 진단을 받은 많은 환자는 a-사르코글리칸 및 g-사르코글리칸을 포함한 사르코글리칸 복합체 단백질에서 발현 결함을 보입니다.
  • 메로신(Merosin, 라미닌 알파 2): 기저막에 위치한 라미닌-2 복합체의 중쇄 성분. 이는 디스트로핀-당단백질 복합체의 a- 디스트로글리칸에 대한 리간드이며, 메로신 결핍은 디스트로핀- 당단백질 복합체의 세포외 앵커를 교란시킵니다.
  • 미오틸린(Myotilin): 인간의 골격근 및 심근에 있는 근절 Z 디스크와 횡문근형질막을 형성하는 구조단백질입니다. 미오틸린은 알파-액티닌, 액틴, 감마-필라민과 상호작용하며, 근위 사지 쇠약을 특징으로 하는 상염색체 우성 질환인 LGMD1A 와 관련이 있습니다.
  • 에메린(Emerin): 내핵막에 있는 막관통 단백질로, 핵질에서 돌출됩니다. 골격근, 심근, 평활근 및 피부에서 발견됩니다. 에메린은 판(lamina) 관련 구조단백질 계열에 속할 수 있으며 그 기능은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 카베올린-3(Caveolin-3): 내재성 막단백질로, 신호 전달에 관여하는 것으로 시사된 형질막의 미세부분인 카베올라 막의 주요 성분입니다. 가장 일반적으로 단백질의 골격화 영역에 위치하며, 특이적 카베올린 상호작용 지질 및 단백질을 조직하고 농축하기 위한 골격화 단백질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 디스페린(Dysferlin): 형질막 단백질. 근육 내 섬유 주변부에 존재합니다. LGMD2B 환자에서는 없거나 감소합니다. 근육세포의 형질막에 국소화됩니다. 디스페린 결핍 환자는 횡문근형질막에서 반응이 없으나 핵막 표지는 양성입니다. 디스페린 부분 결핍 환자는 과립 양성 세포질 영역이 산재되어 있고 재생 섬유에서 광범위 반응을 보입니다.

정확한 진단에 도달하면, 일반적으로 증상 발생을 제어하고 높은 삶의 질을 유지하는 것을 기반으로 치료가 이루어집니다. 근이영양증 환자의 관리는 근이영양증의 유형과 중증도에 따라 매우 달라집니다. 이제 거의 모든 근이영양증에 대해 상담과 산전 진단을 통해 예방이 가능해졌습니다. 그러나, 예방을 신뢰할 수 있기 위해서는 정확한 진단이 필수적입니다. 진단은 근이영양증의 유형을 확립하기 위해 임상 검사를 기반으로 합니다. 이때 실험실 검사가 돌연변이 유형을 식별하는 데 도움이 되며, 연구는 유전자 치료의 형태에 중점을 둡니다. 약물의 발전이 지속됨에 따라 효과적인 약물 치료도 가능할 것입니다.

요약

근이영양증은 진행성 근육 소모 및 쇠약을 특징으로 하는 이질적인 유전성 장애군입니다. 이영양증의 원인이 되는 유전자와 단백질 산물은 대부분의 이영양증 유형에 대해 확인되었습니다. 대부분의 경우 근육 단백질 연구와 분자 유전학 연구를 사용하여 정확한 진단을 확립하고, 예후를 제공하고, 전임상 케이스를 검출하고, 보인자를 식별하고, 산전 진단 검사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근이영양증 환자의 삶의 질은 관리에 대한 긍정적 태도로 크게 개선될 수 있으며, 여기에는 호흡 치료, 물리치료, 구축의 외과적 교정이 포함됩니다. 분자 유전학적 접근법은 향후 효과적인 치료를 개발하기 위한 최상의 전망을 제공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발표자 소개

Steven Westra
Steven Westra

Steven Westra is a renowned antibody staining consultant with over ten years of experience in the immunohistochemistry industry.

라이카 바이오시스템즈 Knowledge Pathway 콘텐츠는 에서 이용할 수 있는 라이카 바이오시스템즈 웹사이트 이용 약관의 적용을 받습니다. 법적고지. 라이카 바이오시스템즈 웨비나, 교육 프레젠테이션 및 관련 자료는 특별 주제 관련 일반 정보를 제공하지만 의료, 규정 또는 법률 상담으로 제공되지 않으며 해석되어서는 안 됩니다. 관점과 의견은 발표자/저자의 개인 관점과 의견이며 라이카 바이오시스템즈, 그 직원 또는 대행사의 관점이나 의견을 나타내거나 반영하지 않습니다. 제3자 자원 또는 콘텐츠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하는 콘텐츠에 포함된 모든 링크는 오직 편의를 위해 제공됩니다.

모든 제품 사용에 다양한 제품 및 장치의 제품 정보 가이드, 부속 문서 및 작동 설명서를 참조해야 합니다.

Copyright © 2024 Leica Biosystems division of Leica Microsystems, Inc. and its Leica Biosystems affiliates. All rights reserved. LEICA and the Leica Logo are registered trademarks of Leica Microsystems IR GmbH.